타이어 내부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타이어내의 공기압을 감지하며 이를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가 운전석앞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타이어 공기압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국내에선 오는 2013년 출시되는 승용차 및 3.5톤 이하 전차종에 전면적으로 TPMS장착이 의무화 됩니다. 관련근거 :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16조의 규정에 따른 자동차안전기준시행세칙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43호, 2010.11.23)
◆ 직접식 TPMS
○ 개 요
타이어 공기주입 밸브 내에 설치되는 공기압센서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내부압력 등을 감지하여 공기압 부족시 타이어의 저압 경고표시 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방식
○ 시스템구성
타이어 내부에 장착되는 4개(또는 5개)의 무선 송신기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1개(또는 4개)의 수신기, 경고등 등 표시장치로 구성
◆ 간접식 TPMS
ABS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압 저하시 타이어동하중반경이 줄어들어 차륜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공기압 부족으로 판단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방식
각 바퀴의 ABS센서 4개, ABS ECU(TPMS ECU포함),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경고등 등 표시장치로 구성
타이어 공기압 부족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적정 공기압 운행으로 추가적인 연료낭비를 방지하여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미국의 경우 타이어공기압경고장치(TPMS) 장착의무화로 사망자 124명/년, 부상자 8,500명/년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
* 유럽의 경우 TPMS 장착시 온실가스 약 3.2g/km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한국 ‘08년 판매차 평균온실가스 배출량 : 190.5g/km)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 타이어 대비 회전저항(Rolling Resistance)을 저감시킨 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