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비란 연료 1ℓ로 주행 가능한 거리(km)를 말하는 것으로, 국가에서 규정한 시험법 및 절차에 따라 고시에서 지정한 시험기관에서 측정된 자동차의 소비효율을 표시연비라 합니다.
차량의 객관적인 비교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은 카본밸런스법(Carbon-Balance)에 의한
표시연비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외부조건(항온,항습 등)을 설정하고, 실제주행상황을 그대로 모의한 주행모드로 차대동력계에서 차량을 실제로 주행하여, 자동차에서 배출된 탄소성분(즉, 연료소모량)을 분석장치를 통해 정밀하게 측정하여 연비를 산출합니다.
따라서, 국내 표시연비는 국내에 출시되는 모든 자동차를 동일한 조건 동일한 주행모드에서 측정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차량 구매시, "객관적인 비교정보"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표시연비 시험절차는 시험준비과정, 모의주행과정, 배기가스 분석과정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준비된 연비측정 대상 자동차(주행 축적거리 6500km±1000km 이내)를 시험실의 차대동력계에 위치 시킨 후 예비주행을 실시하고, 자동차 전체의 냉간상태가 지속될 수 있도록 25℃의 항온항습실에서 12∼36 시간동안 보관
냉간 보관이 완료된 차량을 시동을 걸지 않고 차대동력계 상에 위치한 뒤 배기분석계 및 시료 채취관의 연결, 냉각팬을 설치 후 표시연비 주행모드에 따라 모의 주행 실시
모의 주행동안 자동차의 배기구에 연결된 시료채취관을 통하여 측정된 배기가스를 분석하여 대상 차량의 연비를 결정